'문학'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2.20 책만 보는 바보 2

  • 책만 보는 바보
  • 안소영

만나면 편한 사람이 있듯, 편한 책이 있다.
손에 잡힐 듯한 생생한 묘사가 돋보인다. 마치 내가 1792년에 살고 있는 것 같이.

<한서>를 이불삼아 <논어>를 병풍삼던 이덕무, 그의 처지를 생각하자면 마냥 웃을 수만은 없었다. 반쪽 양반이라 양반 생활도, 나머지 반쪽 핏줄의 생활도 할 수 없으니 책만 보는 바보가 되었고 살림은 곤궁해졌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책조차 마음껏 살 수 없던 그에 비하면 인쇄술이 발달해 쉽게 책을 구할 수 있는 현대의 우리는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싶다.

그의 벗들로부터 배운다.

담헌 홍대용의 다재다능함을 본받고 싶다.
자연과학과 천문학에 밝아 이미 자전설과 만유인력의 법칙을 알고, 천문관측계를 만들 정도로 수학에도 능하고 천둥소리를 거문고로 옮길 만큼 악기와 음악에도 재능을 보인 홍대용.

유득공의 넓은 아량을 본받고 싶다.
이덕무가 맹자로부터 밥을 얻어 먹었을 때, 유득공은 좌씨로부터 술을 얻어 먹었다.
가장으로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귀하게 여기던 <맹자>를 팔아 곡끼를 때운 이덕무. 선비된 자가 책을 팔아 먹을 것을 얻은 것에 마음이 어지러워 찾아간 유득공은 굳이 책을 팔 처지가 아닐지라도, 무척이나 책을 아끼는 사람이지만 선뜻 <좌씨춘추>를 팔아 술을 나누며 친구의 마음을 위로할 줄 알았다. 늘 환한 얼굴로 사람을 편히 대하고 마음을 나누는 유득공, 또한 그는 우리 것, 우리 역사를 소중히 여길 줄 안다.

연암 박지원의 인품을 본받고 싶다.
<열하일기>를 비롯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작품을 쓸 만큼 학식이 높고 문필이 뛰어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나는 그의 사람 대하는 모습이 특히 인상 깊었다. 신분과 노소와 상관없이 오직 그 사람의 됨됨이를 보고 정중히 대하고 곤란에 처한 이가 민망해 하지  않도록 기를 살려주는 모습을 보인 연암 선생.

박제가, 유득공, 백동수, 이서구,홍대용, 박지원 등 이들 모두로부터 애민, 우국의 정신을 본받고 싶다.

<이산>이라는 드라마가 많은 인기를 얻었고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열하일기>와 같은 책을 베스트셀러 순위권에서 볼 수 있다. 위 작품의 시대 배경이 영,정조 때라는 공통점은 우연의 일치일까? 당시에도 신분계급과 차별,노론과 소론의 당파싸움, 빈곤한 백성들의 삶, 외교 분쟁 등은 존재했다.
그렇다면 왜일까?
우리는 지금, 당시의 인물과 행적을 그리워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맹자는 '다른 사람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끼는 마음이 있어야 위대한 정치를 펼칠 수 있다' 한다.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헤아릴 줄 아는 깊이를 가진 임금과 통합과 개혁을 위한 정책, 어떻게 하면 백성이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 생각, 그 방법을 모색하고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던 실학자들을 말이다.

많은 참고 도서와 논문을 토대로 했지만  현학적이지 않고, 쉽고 재미있게 과거의 인물 이덕무와 그의 벗을 마치 나의 오랜 벗과 마주하듯 글을 쓴 작가의 필력에 감탄했다.

공!감!구!절!

- 이 방의 문고리를 잡을 때마다 나는 늘 가슴이 두근거린다. 방에 들어서는 순간 등을 보이며 가지런히 꽂혀있는 책들이 모두 한꺼번에 나를 향해 눈길을 돌리는 것만 같다. 눈과 눈이 마주치는, 책 속에 담긴 누군가의 마음과 내 마음이 마주치는 설렘.
-(p.13)

- 책상 위에 놓인 낡은 책 한 권이 이 세상에서 차지하는 공간은 얼마 되지 않을 것ㅇ다. 가로 한 뼘 남짓, 세로 두 뼘 가량, 두께는 엄지손가락의 절반쯤이나 될까. 그러나 일단 책을 펼치고 보며, 그 속에 담긴 세상은 끝도 없이 넓고 아득했다. 넘실넘실 바다를 건너고 굽이굽이 산맥을 넘는 기분이었다.
-(p.21)

- 책과 가까이 지내다 보면, 온기가 없는 무생물이 아니라 살아 있는 생명체를 대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종종 있다. 오래전부터 물끄러미 나를 바라보고 있는 듯한 눈길을 느낀다든가 제 몸을 벌떡 일으켜서 어려움에 처한 나를 돕고 싶어 하는 마음이 전해져 온다. 그럴 때면 책은 따스한 피가 흐르는, 살아 있는 벗이 된다.
-(p.27)

- "나도 내 삶이 다하는 그날까지 무언가를 붙들고 싶습니다. 내가 끝까지 부여잡은 그것이, 후대 사람들에게 감동과 감탄뿐 아니라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유득공
-(p.94)

- "공에는 위, 아래가 따로 없어. 어디가 가운데라 할 수도 없지. 중국 사람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우리는 동쪽 변두리의 작은 나라에 불과하겠으나, 우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중국도 북쪽의 큰 땅덩어리에 불과하네. 우리는 서양 사람이라 부르지만, 그들의 눈으로 본다면 우리는 동양 사람이겠고, 그러니 자기만의 중심이라 자만할 것도, 변두리라 기죽을 것도 없다네; 다같이 이 지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지." / 담헌 홍대용
-(p.157)

-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느끼고 싶은 대로, 생각하고 싶은 대로 사물을 받아들인다. 마음속에 받아들이고 싶은 것, 인정하고 싶은 것을 미리 정해 두고, 그 밖의 것은 물리치고 거부한다. 그러한 마음에 기초가 되는 것은 역시 지난날에 보고 싶은 대로 보고, 듣고 싶은 대로 들은 자신만의 감각이나 경험이다. 이것이 바로 선입견이다.
-(p.176)

- 스물아홉살 난 조선의 젊은이 박제가의 저서 <북학의>는, 변화를 두려워하고 편안함만을 누리고자 하는 사대부들을 날카롭게 꼬집는 말로 끝을 맺었다. "현재 백성들의 생활은 날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국가의 재정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사대부는 그저 팔짱을 낀 채 바라만 볼 뿐, 백성들을 구제하지 않을 것인가? 모른 체만 하고 있을 것인가?"
-(p.208)

- 내가 겪고 보니, 고을을 다스리는 것은 한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작게 줄여 놓은 것과도 같은 듯했다. 물자가 고르게 돌아가게 하여 백성들의 살림이 피어나게 하고, 고을 관리인 아전들이 맏은 일을 잘 하도록 하고, 백성들끼리 다툼이 일어날 때마다 공정하게 판결하고, 잘한 일은 상을 주어 격려하고 잘못한 일은 법에 따라 벌하는 것 등이 나랏일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p.240)

- 오랜 세월이 흐른다 하더라도 누군가 나의 마음속에 스며들어와 나의 진심을 이해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서로 시간을 나눌 수 있다. 옛사람과 우리가 우리와 먼 훗날 사람들이, 그렇게 서로 나누며 이어지는 시간들 속에서 함께하는 벗이 되리라.
-(p.250)

Posted by Dream Sso
:

BLOG main image
☆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 ----------------------------------------- ----------------------------------------- "사람들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와준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랍니다." - 피터 드러커 by Dream Sso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0)
Review-Book (138)
Review-문화 예술 (5)
PLAN (4)
부자 여행 (0)
성공 여행 (6)
지구별 여행 (1)
오아시스 (5)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otal :
Today : Yesterday :